『Shark's Fin and Sichuan Pepper』 매운 향신료가 부르는 유혹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낯선 식문화'가 주는 충격과 호기심이 얼마나 큰 에너지가 되는 알것이다. 이런 감정의 문턱을 넘나드는 과정에서 새로운 세계를 마주하게 된다. 영국의 작가 퓨사 던롭(Fuchsia Dunlop)이 중국 쓰촨성에서 겪은 음식 모험담을 담은 <Shark's Fin and Sichuan Pepper>에는 '요리책' 이라고 하기에 아쉬울 정도로, 중국 사회와 문화, 역사까지 다채롭게 아우르고 있다. 중국의 깊은 역사만큼 지역마다의 식문화는 독특한 풍미가 공존하고 있음을 알게 해준다.
영국의 모험가, 쓰촨의 요리학교에 입학하다
퓨샤 던롭의 처음 목표는 요리가 아니었다.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을 연구하려 떠났다가, 현지 음식에 매료되어 예상치 못한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것이다. 서양에서는 생소한 식문화인 소의 위나 토끼 머리, 여러가지 내장 요리가 너무나 자연스럽게 메뉴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녀가 선택한 곳은 다름 아닌 쓰촨고등요리학교. 매운맛과 알싸함이 믹스된 쓰촨 요리를 제대로 배우겠다는 결심은 서양인으로서 드문 도전이었고, 자연스럽게 중국어 실력도 늘게 되었다.
독특한 식문화의 경험으로 단순한 여행자가 아닌, 현지 조리 기술을 체득한 일종의 '인사이더'로서 책을 풀어내고 있다. 마파두부나 탄탄면 같은 대표 요리를 배우는 에피소드를 비롯해, 매일 같이 칼 기술을 연습하던 장면까지, 책 속의 담긴 이야기는 하나의 '문화 체험기'이자 '성장 기록'처럼 읽힌다.
쓰촨 음식이 선사한 색다른 미각
미각을 다시보다 , 쓰찬 페퍼
어향가지(fish-fragrant eggplant)같은 요리는 생선이 들어가지 않지만 생선 요리의 맛을 흉내 내어 오묘한 단맛과 신맛, 매운맛이 조화를 이룬다.
그녀 역시 낯선 식재료와 조리법이 처음부터 익술했을 리 없다. 숙성된 달걀, 돼지의 뇌, 거위의 내장처럼 서양에서는 식재료로서 쉽게 사용하지 않는 것이 태반이다. 하지만 "뭐든지 일단 먹어보겠다"라는 용기가 결국 쓰촨 음식의 깊은 세계로 안내한 셈이다.
다채로운 텍스쳐의 향연, 식감
중국 길거리음식의 특징은 한접시안에서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탱글탱글한 면발과 바삭한 튀김, 부드러운 두부의 느낌은 식감이 가져다주는 스펙트럼을 더 넓게 확장시킨다. 서양요리에서 간과되기 쉬었던 부분인 '식감'요소를 중국요리에서 찾고 있다.
환경과 윤리, 그리고 음식의 가치
책 제목에 등장하는 '상어 지느러미는 던롭이 중국 음식을 접하면서 느낀 윤리적 고민과 직결된 부분이다. 샥스픽 소비에 대한 비판이 세계적으로 거세지면서, 이 문제를 문화 차원에서 어떻게 바라봐야하는지 그녀는 책 속에서 조심스럽게 다루고 있다.
중국뿐 아니라 서양에서도 캐비어, 대구, 참다랑어 등 환경파괴와 연결된 식재료를 소비하고 있으니, 특정 국가만이 아니라 인류 전반의 문제로 보는 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음식은 한 나라의 전통과 역사를 반영할 뿐 아니라, 글로벌 세계에 만연한 자원 소비 문제까지 떠올리게 한다. 여행자가 타 문화의 식탁에 앉았을 때, 그 뒤에 숨어 있는 배경과 맥락을 살펴보는 일은 곧 깊이 있는 이해와 존중의 시작이 된다.
쓰촨을 맛보고 싶다면!
칼과 불의 예술
단계별 매운맛에 도전
중국의 급변과 전통의 공존
중국 본토에서의 반응
"단순한 맛 기행을 넘어, 중국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차근차근 보여주는 통찰의 기록"
댓글
댓글 쓰기